한국의 심청이 오페라의 본고장 이탈리아에서 오페라로 제작되어 공연되었다. 사실 심청이라는 소재는 이미 여러 번 오페라화되어 새삼스럽지도 않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인터내셔널 오페라 인 필라델피아 (International Opera Theater in Philadelphia)라는 미국 오페라 컴퍼니에서 약 7년간의 과정을 거쳐 한국 오페라를 기획 및 제작을 맡아 이번 여름 8월에 이태리에서 오페라 심청을 초연으로 올리게 된 것이다. 서양에서 한국을 배경으로 하여 만들어진 두 번째 오페라이자 전체적인 심청의 이야기 틀 안에서 여러 새로운 요소들을 가미해 등장인물을 재구성하여 우리 한국인에게 친숙한 한국을 대표하는 스토리 중 하나가 이태리에서 올려졌음에 감격스럽기 그지없다. 이번 시작을 앞으로 필라델피아, 한국에서도 공연 될 예정이다.

미국에서 제작되어 오페라의 본 고장 이탈리아에서 막이 오른 심청 포스터
미국에서 제작되어 오페라의 본 고장 이탈리아에서 막이 오른 심청 포스터

이번 오페라 심청은 이태리 현지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작곡가 Angelo Inglese가 맡아 아름다운 선율과 웅장함에 한국 고유의 정서를 가미한 고혹적인 음악으로 탄생되었다. 특히나 '아리랑'의 다양한 변조와 국악의 리듬이 더해지면서 동서양의 조화를 꾀하는 시도로 한국의 멋과 예스러움에 신명까지 더해졌다. 대본은 Charistian Bagott이, 연출은 Karen Sailant가, 무대와 의상은 한국의 이미경이 맡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를 졸업한 후 도미, 맨해튼 음대에서 석사와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에서 연주자 과정을 졸업하고 현재 미국 Stafford Opera Troupe Guest Faculty 활동 및 미주 전역에서 주역 가수로 활동 중인 소프라노 심규연이 주인공인 심청 역으로 열연을 펼쳤는데 이번 공연을 위해 심청이라는 캐릭터에 가장 어울릴만한 배우를 찾기 위해 2년이라는 시간을 투자해 발견한 재원이다. '한국인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인 심청을 부를 수 있어 큰 영광'이라고 소프라노 심규원 본인도 밝혔으며 심봉사 역에는 일본인 베이스 바리톤 Masashi Tomosugi, 용왕 역에 마케도니아인 바리톤 Darko Todorovski, 심청 어머니 역에 러시아인 메조소프라노 Елизавета Михайлова 그리고 왕 역에 말레이시아 테너 Jun Wen Wong이 각각 캐스팅되어 국제적인 멤버로 코즈모폴리턴적인 심청이 만들어졌다.

주인공 심청으로 분한 소프라노 심규연이 열연과 열창을 펼치고 있다.
주인공 심청으로 분한 소프라노 심규연(오른쪽)이 열연과 열창을 펼치고 있다.

서양음악이 한국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페라를 비롯한 여러 공연예술 장르가 들어온 지 어언 100여 년이 흘렀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공연예술이라는 장르를 이 땅에 정착하기 위한 여러 실험과 시도가 있었다. 그 결과 인구나 국토의 크기에 비례, 동서양의 여러 장르를 막론하고 여러 오페라, 뮤지컬, 발레, 현대무용, 국악극 등 동서양의 여러 장르를 막론하고 활발하게 공연과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니 단기간에 비하면 실로 엄청난 속도로 이룬 발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뮤지컬 시장이 2000년대로 넘어와 양적, 질적 발전을 거듭하고 그에 따른 투자와 자본의 유입으로 대중예술의 대표적 공연예술 장르로 자리 잡은 것은 주목할 일이다. 그에 반해 한국 창작 오페라는 역사가 70년이 넘었지만 예술적으로나 대중들에게 각인된 오페라 작품의 수가 뮤지컬에 비해 현저히 적으며 대부분의 작품들이 일회성 공연으로 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대다수의 한국 창작 오페라가 대중들의 폭넓은 지지를 얻는데 실패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친숙하고 잘 알려진 문학이나 스토리, 영화 등을 오페라로 전환한 미국의 경우처럼 우리 고전문학이 오페라를 비롯한 콘텐츠 창작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화적 원천이 되어 서양에 고급문화콘텐츠로서 신한류를 선도할 거라 예상한다. 한국의 아티스트들이 주가 되어 이순신이나 안중근, 김구 등의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존경하는 그 인물들의 일대기를 극화하거나 지방자체제가 시행됨에 따라 각 지역 지방자치단체와 연계 또는 지원을 받아 그 지역의 출신 인물들의 성공 스토리나 일대기를 음악화하여 지역을 홍보하고 문화상품화하려는 얄팍한 근시안적인 시도가 아닌 '오페라'라는 작품 본연에 집중한 공연으로 외국에서 우리 문화의 원천이 인정받고 도리어 더 관심을 받고 연구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에서 만들어 외국에 소개하고 가져다 파는 게 아닌 외국에서 우리 것을 만들었다는 게 큰 차이다. 이태리 작곡가에 전 세계에서 모여든 다국적의 스태프로 공연 자체에만 집중하여 만들어졌으며 한국인 소프라노가 방점을 찍었다. 어서 빨리 한국에서도 공연이 되길 바라며 이러한 시도와 도전이 계속되어야 한다. 이제 우리도 해외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우리만의 오페라가 있어야 한다. 그게 국내 제작이든, 해외에서 제작했든 한국 사람이 했든 외국 사람이 했든 중요치 않다. 오페라 자체만 살아남는다. 

오페라 스태프들이 한 자리에 모인 단체사진
오페라 스태프들이 한 자리에 모인 단체사진

 



저작권자 © 말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