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위장 유언비어성 가짜뉴스 해악 '심각', 저널리즘 차원 대처해야

한국언론의 위기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우후죽순처럼 가짜뉴스가 범람하고, 허위정보와 함께 검증되지않은 뉴스가 유튜브와 같은 새로운 매체를 통해 무차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사회적 공포와 불안이 높아질 수 있는 사안에 대한 가짜뉴스나 허위정보는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하다.

가짜뉴스는 ‘뉴스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제 사실이 아닌 거짓된 뉴스’를 의미한다. 가짜뉴스는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조작되거나 거짓 정보를 유포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혹세무민의 유언가 되어 사회 전체를 혼탁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시민들이 객관적이고 공정한 뉴스를 접할 수 있도록 진실보도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대응과 함께 팩트체크와 크로스체크 등 저널리즘 차원에서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다. 2015년 메르스사태 당시 정부와 관련 병원이 정보를 차단하고 초기 대응에 실패함에 따라 사망자 38명, 감염자 186명이 발생했고, 정부는 국민들에게 미흡했던 대처에 사과해야 했던 아픈 기억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면서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는 '인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자가 나왔다' 등의 가짜뉴스가 빠르게 생산되고 있다. 정부가 배포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예방행동수칙.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면서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는 '인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자가 나왔다' 등의 가짜뉴스가 빠르게 생산되고 있다. 정부가 배포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예방행동수칙.

 

전염병 관련 가짜뉴스 확산, 경찰 방심위까지 적극 대처 나서

문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면서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는 '인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자가 나왔다' 등의 가짜뉴스가 빠르게 생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기사를 검색해보면 “우한 폐렴, 실제 감염자 9만명 이상”…현지 의료인 폭로(?), “우한 폐렴,중공의 생물학 무기” 음모론 확산, 존스홉킨즈 의대, 우한폐렴으로 1년 안에 전세계 6억5천만명 사망 예측, #[공포] ‘중국’ 우한 폐렴 환자들 ‘공짜 치료’ 받으러 이미 대거 국내로…, 우한 폐렴 걸린 중국인 방한하면 우리 돈으로 치료-생활비까지 대준다고?, ‘우한 폐렴’ 보자마자 홍콩 최고 바이러스 전문가가 도망친 이유, 중국 시진핑 공산당 정부가 의도적으로 기획한 코로나바이러스 우한폐렴 세계 재앙, 박쥐, 고양이, 코알라까지 산채로? 당장 중국인 입국 대책 세워야!!, “폐렴환자 ‘10만명 이상’ 베이징, 상하이, 광동은?” 등 많은 가짜뉴스들이 인터넷 상에서 선량한 시민들을 위협하고 있다.

오죽하면 경찰이 가짜뉴스 및 허위사실 유포자에 대한 철저 수사 방침을 밝혔을 것인가?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28일 “허위로 유포되는 내용에 명예훼손 등 범죄 혐의가 성립되는 내용이 포함된다면 기본적으로 수사에 나서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며 “인터넷에서는 가짜뉴스 등이 확산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수사 방침을 천명했다. 여기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도 나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가짜뉴스를 집중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방심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사실과 동떨어진 정보가 인터넷상에서 무분별하게 유포되지 않는지 중점 모니터링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개연성 없는 정보를 포함한 국내 사이트 게시물에 대해 '해당정보 삭제' 조치한다고 설명했다.

방심위에 따르면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개연성 없는 정보를 퍼트리면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 규정 제8조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위반' 등에 따라 시정 요구 대상이 된다. 방심위는 인터넷·포털 기업 등에도 거짓정보를 담은 유사 게시물이 확산되지 않도록 자율 방지 활동 강화를 주문했다. 방심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정보는 온라인 공간에 그치지 않고 오프라인 공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인터넷 이용자와 운영자의 자율 자정 노력이 절실하다”고 당부했다.

속보경쟁, 따라쓰기 심각한 언론계, 의제설정-팩트체크 나서야

문제는 최근 혼란에 빠지면서 의제설정을 하는 ‘어젠다 세팅’ 기능을 상당 부분 상실한 우리 언론계가 속보경쟁과 함께 따라쓰기라는 경마식 저널리즘의 늪에 빠져있다는 점이다. 실제 우리나라의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뉴스는 BBC, NBC, NHK 등 해외 방송사 뉴스보다 ‘심층적 뉴스’가 부족하고 보도자료 의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는 실제 언론학계의 연구 결과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지난해 9월 ‘퀄리티 저널리즘을 위한 탐색: 한국 TV뉴스의 품질’ 컨퍼런스에서 좋은 저널리즘 연구회는 2018년 한해 동안 보도된 리포트 중 지상파는 37.1%, 종편은 34.6%가 심층성이 있다고 평가한 반면, NBC는 65.7%, BBC는 48.0%, NHK는 57.4%가 심층성 있다고 봤다. 또 지상파는 전체 뉴스의 49%, 종편은 40%가 보도자료를 출처로 삼았고 NBC와 NHK는 보도자료에 의존한 전체 뉴스 비중이 각각 4.4%, 5.7%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 구조에서 언론사들의 ‘트래픽 지상주의’ 디지털 대응 정책 역시 문제로 지적된다. 이처럼 인터넷상의 트래픽을 올리기 위해 클릭수를 높이기 위한 언론사들의 속보 경쟁 및 따라쓰기 방식은 실제 기자들의 업무 과중과 기사의 품질하락을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언론사 경영진들의 디지털 접근이 속보 대응, 조회수에만 집착하면서, 기자들의 업무는 더욱 분주하고 기사의 질도 더욱 하락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전국언론노조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편집국 소속 기자 중 49.8%는 지난 3년 동안 일주일 기준 기사 출고량이 증가했다고 답변했다. 기자 중 49.1%는 ‘기획·해설기사 감소’를 현재 취재·보도 관행의 문제로 지적했고 그 원인으로 ‘인력 부족으로 인한 업무 증가’(42.4%) ‘지면을 메우기 힘든 현실’(26.5%), ‘디지털 속보 전쟁’(25.0%) 등을 꼽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예방수칙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예방수칙

 

정확한 정보 공개로 가짜뉴스-거짓정보 퇴출시켜야

가짜뉴스는 사회에 불안감을 높여 사회 전체에 공포심을 일으키고, 결국 정책적인 왜곡과 불신을 야기하고 정부 대응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부발표를 불신하게 되면서 더욱 심각한 유언비어가 유포되고, 정부예산 측면에서도 불필요한 지출을 늘리거나 정부 불신으로 이어지는 등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전염병과 관련해 새로운 사실과 정확한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발표하고, 잘못된 사실이나 왜곡된 가짜뉴스를 바로 잡는 등 적극적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응해야 한다.

특히 팩트체크 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가짜뉴스를 예방하고, 뉴스의 옥석을 가릴 수 있도록 하는 저널리즘 측면의 개선과 정론보도의 추구는 의미있는 대처방식이 될 것이다. 팩트체크는 정치인들의 주요 공식 발언은 물론 각급 정부 기관의 정책, 주요 언론 보도에서 인용된 각종 수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유튜브 등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이슈 등 광범위한 주제들을 대상으로 검증함으로써 생생하고 공정하며 정확한 진실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염병보다 더 무섭고 공포스러운 가짜뉴스, 거짓정보 퇴치와 저널리즘의 복원을 위한 사회적 노력을 경주할 때다.

저작권자 © 말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