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설별 승마 공급력 및 수도권 확대 지도.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소장 최귀철)는 올해 초 ‘국내외 말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승마 관련 수요 추정 연구’(A Study on Estimating Horse Riding Demand for Environmental Changes in Horse Industry)를 발표했습니다. 승마산업 현장을 일일이 방문하며 승마 시설의 경영 및 시장 상황을 파악·분석한 뒤 승마 관련 수요를 추정한 현장 중심의 연구 결과입니다. 그 열다섯 번째 순서로 승마 잠재수요에 따른 승마시설별 잠재수요와 승마시설로의 접근 잠재력에 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 기자 말.

정부는 승마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과 수요 확충을 꾀하고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향상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체계적이고 면밀한 전략 수립이 전제되어야 달성 가능하다. 이 가운데 특히 인프라 부문은 예산의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수급 상황을 고려한 승마시설 접근성 분석을 통해 입지 전략이 마련되어야 효율적인 정책 추진이 가능하다. 더욱이 어떠한 유형의 승마시설을 공급하는 것이 향후 승마산업의 기반구축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주도면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승마공급 전략의 일환으로 승마시설 입지 선정을 위해 필요한 승마시설의 적정 공간 배분전략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권역별(수도권 중심) 승마시설의 과수요지역과 과공급지역 선정 및 공급 전략을 제시하고 수요와 공급을 고려한 잠재력 모형을 이용하여 각 승마시설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승마시설의 발전 잠재력은 시설(공급)의 접근성과 이용 인구(수요)의 이동성의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이동성과 접근성의 근본적 차이는 바로 행동의 주체에 있다. 사용자 중심에서 최단거리에 해당하는 이동성에서는 이용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이동 수단과 같은 사회적 접근성의 측면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접근성은 시설을 입지시키면서 고려해야 할 지역의 사회계층들을 고려해가면서 이들의 접근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입지를 선정하는데 보다 고려되는 개념이다.

사람들은 전국 모든 승마시설을 이용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승마 시설의 공급량도 모든 사람에게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승마시설의 일상적인 이용 반경과 승마시설 공급의 서비스 권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모든 승마시설이 전국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잠재적 수요가 각 시설에 도달할 거리를 한정해 분석했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잠재 승마 수요 비율을 계산하고, 이 비율과 읍·면·동별로 초·중·고 연령(8-19세)과 성인(20세-65세) 인구를 곱해 읍·면·동별 승마 잠재 인구수를 산출했다. 읍·면·동별로 추정한 잠재수요 인구는 개선 전이 490만 명, 개선 후 758만 명으로 설문조사 시 시도별로 추정한 인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시도별로 잠재 인구를 추정한 결과는 개선 전이 약 493만 명, 개선 후는 약 762만 명으로 산출됐다.

▣ 수도권 접근 잠재력 높게 나타나

승마 시설로의 유입 제약 요건을 개선한 경우 현재 상태보다 지역의 승마 수요는 증가하는데 이는 단순히 조사 결과의 비율을 곱했기 때문에 인구수에 따라 증가한 것이다. 결국 현재 인구가 많은 지역이 장애요인 개선 후에 승마 인구가 더 많아진다는 가정에 따라 인구수가 많은 수도권 및 광역시와 그 인근지역에 있는 승마시설에서 승마 잠재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승마시설로의 접근 잠재력은 승마시설의 규모와 주변 한 시간 권내에 얼마나 많은 수요지가 있는지로 결정된다. 전국 승마시설의 경우는 그래프1과 같이 그 공급력이 나타난다. 제주도의 경우 그 값이 적게 산출된 이유는 승마시설 주변 행정구역 수가 절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주로 승마시설이 많은 수도권과 대도시 근교 지역에 접근 잠재력, 즉 공급력이 높은 것으로 산출됐다. 특히 수도권 내에서도 경기 남부 지역이 북부 지역에 비해 공급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래프2는 전국적 차원에서 접근 잠재력을 도식화한 것이다. 서울 및 주변 시·군에 있는 읍면동의 경우가 접근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제주, 충북 및 충북 북부, 대구와 부산 및 그 주변 일대, 광주 및 그 주변에서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과 강원의 경우는 승마 시설로의 접근 잠재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산출되고 있다. 수도권 부분의 접근 잠재력은 과천, 안양, 광명, 군포, 안산, 화성, 용인, 이천이 상대적으로 시설 수와 시설 규모가 커서 공급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체육·레저시설도 높게 집계

유형별 승마시설로의 접근 잠재력은 첫째, 법률상 구분에 의한 유형 구분, 둘째는 사용행태에 의한 유형 구분으로 살펴봤다. 법률상 유형별 승마시설로의 접근 잠재력을 보여주기 위해 시도 내에 있는 읍면동이 여러 승마시설로의 접근할 때 평균 접근잠재력을 산출했다. 전국적으로 보면 체육시설로 구분된 승마시설로의 평균 접근 잠재력(15.55)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사업자(7.51)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경기도, 제주도의 경우가 체육시설로 구분된 승마시설로의 평균 접근 잠재력이 높았고, 전남, 강원, 광주, 대전의 경우가 접근 잠재력이 낮았다. 농어촌형 승마시설의 경우는 광주, 울산, 경기가 접근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시도의 읍면동 승마시설 유형으로의 평균 접근 잠재력

시도 체육시설 농어촌형 승마시설 일반 사업자 미신고 무응답
서울37.833.9220.296.788.01
부산9.392.670.944.122.98
대구21.203.865.805.433.13
인천26.533.0813.657.406.62
광주3.258.024.3412.906.08
대전3.921.671.340.941.47
울산10.656.850.992.502.95
세종6.952.231.751.402.66
경기34.404.5018.526.987.00
강원2.041.130.730.230.57
충북5.463.652.451.361.86
충남5.362.342.001.831.59
전북4.471.511.861.351.71
전남1.302.490.991.652.63
경북5.772.673.163.591.26
경남4.221.880.902.661.25
제주34.136.2911.639.468.21
전체15.553.197.514.273.82


두 번째로는 사용 유형으로 시설 특성을 반영해 레저승마시설, 체험학습연계 승마시설, 지역자원연계 관광(휴양)승마시설로 구분해 산출했다. 유형별로 평균 접근잠재력을 살펴본 결과, 레저승마시설이 가장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학습 및 지역자원연계 승마시설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설문 자료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총 478개의 승마시설이 있으나, 이중 459개만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평균 시설 접근잠재력은 수치가 높을수록 접근성이 좋다.

표2. 사용 유형별 승마시설 평균 접근잠재력

사용 유형 개수 평균 시설 접근잠재력
레저승마시설280312.63
체험학습 연계 승마시설159117.01
지역자원연계 관광승마시설20113.84




원고 제공 및 연구 책임자= 서명천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 책임연구원
교정·교열= 이용준 기자

▲그래프1. 전국 시설별 승마 공급력 및 수도권 확대 지도.
▲그래프2. 읍면동 차원에서 승마시설로의 접근 잠재력.


작 성 자 : 이용준 cromlee21@krj.co.kr
저작권자 © 말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