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의 박세리 최경주 양용은 최나연....., 야구의 박찬호, 축구의 박지성, 수영의 박태환, 피겨스케이팅의 김연아 효과처럼 획기적인 경마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한국에서도 국제경마대회를 개최해야 한다. 제반 경마시스템을 국제적 수준으로 정비, 국민과 함께하는 경마문화 창출을 위해 경마를 축제화시켜야 한다.

한국의 경마현실을 살펴볼 때 소위 ‘간다 안간다’는 소스경마와 단순한 번호찍기에 의한 마권구입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경마는 다른 도박, 예를 들면 로또나 카지노와는 달리 본인이 철저하게 연구하고 공부하지 않으면 승리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스경마와 번호찍기가 만연하고 있는 것은 한국경마의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연구하고 공부하지 않는 경마팬은 결국 그로인해 경마의 패배자가 되고 말 것이다. 여기저기 난무하는 소스경마와 단순한 번호찍기에 열중하다보면 경마를 단순한 도박으로 인식하는 풍조만 만연할 뿐이다. 소스경마와 번호찍기에 의존하는 한 로또복권이나 카지노와 경마가 다를 게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결국 경마를 투쟁의 대상으로 삼게 되고 평정심을 잃고 패가망신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된다.

경마는 경주마의 능력 70%, 기수(선수)의 기승술 30%가 합쳐져 승부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간다 안간다’는 소스 얻기에 혈안이 되고 그저 종합지나 찌라시에 의존하는 베팅습관을 버리지 않으면 절대로 경마에서 승리할 수 없다. 경마는 각종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스스로 연구하고 추리하여 결과를 도출해내야 한다. 이런 경마의 본질을 모든 국민들이 정확하게 이해할 때 경마의 건전화는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마의 본질을 국민들에게 제대로 알리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경마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웃 일본이 왜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저팬컵’ 경마대회를 창설했는가? 아랍에미레이트는 무엇 때문에 ‘두바이월드컵’ 경마대회를 창설했는가?

경마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해소하는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경마의 본질을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리는 것이다. 대국민 홍보중 가장 효과가 큰 정책으로 국제경마대회 창설을 제안한다.

이미 수년전 농림부와 한국마사회는 2016년 국제경마대회 창설을 계획한 바 있다. 현재 어느 정도 추진이 되고 있는 것인가? 국제경마대회를 창설하려면 준비해야할 것들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경주마 생산 확대로 양적 성장을 해왔으나 질적 측면에서 외국의 수준에 뒤떨어진다. 경주마 생산지표를 양적생산 확대에서 질적 개선으로 전환해 1000m 우승마 기록이 59초대로 나와주어야 한다.

경주마 육성에 있어서는 민간목장 육성분담률이 97년 36.6%에서 지난해 86.4%로 높아졌지만 대규모 생산농가를 제외한 영세목장은 자금력 미비로 대부분 육성관리가 부실하며, 전문인력 확보에 애로가 있는 상황이다. 경주마 유통·관리 부문에서는 비정상적인 거래로 마필 가격이 상승하고, 마방부족으로 우수마 적기 입사가 곤란한 상황이다.

경마국제화를 위한 선결과제로 국가간 검역협정을 위한 전염성 질병 실태조사와 조련이 가능한 검역계류장을 확보하고, 국제경주 개최에 적합한 경주로 구비를 위해 경주로 개보수도 필요하다. 축구며 야구 골프 등 다른 스포츠에서는 세계를 제패하는 스타 선수들이 쏟아져 나와 국민에게 감동과 희망을 선사하고 있다. 경마도 그리해야 부정적인 편견을 깨부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계 1위의 경주마를 생산 육성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작 성 자 : 김문영 kmyoung@krj.co.kr
저작권자 © 말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