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는 지난해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의 규제 계획이 확정되자 장외발매소 축소와 매출 축소 등을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인 경마공원이 필요하다는 방침을 세우고, 서울-부산 사이, 서울-광주 사이, 경기도 등의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4번째 경마공원 건립 계획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사감위의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장외매출 비율을 2013년까지 전체 매출의 50% 이내로 조정하고 도심지역의 장외발매소를 단계적으로 외곽이전 또는 축소해야 하는데, 마사회는 장외발매소를 최종 14개로 줄이는 대신 경마공원의 추가 건설을 대안으로 구상하고 있다.

한국마사회의 경마공원 추가건설 계획이 알려지면서 현재 3∼5곳의 지자체가 러브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후보지의 한 곳으로 거론되는 전라남도는 말 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과 함께 말 관련 산업 유치를 검토 중이라며 한국마사회측에서 경마공원 설립을 확정할 경우 유치전에 나설 것임을 밝힌 바 있다. 또한 충청북도와 공동으로 경마장 유치에 나서고 있는 청원군에서는 수도권과의 접근성 등 뛰어난 입지 조건을 내세우며 테마공원 형태의 경마장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재욱 청원군수는 지역언론을 통해 경마공원을 유치할 경우 연간 1800억 원 정도의 세수가 기대되는데, 이 중 도세(레저세)를 빼더라도 군이 500여 억 원을 확보할 수 있고 군의 재정자립도는 46%로 현재보다 10%포인트 정도 향상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유치경쟁에 나설 뜻을 밝혔다.

이렇듯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경마공원 유치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것은 경마공원이 조성될 경우 연인원 15만여 명에 달하는 건설관련 고용창출 및 1100여명의 운영인력 채용, 거액의 세수 확보 등 지역경제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마사회는 지난해 경마공원 관할 지자체인 서울과 경기도에 지방세 8600억여원, 부산과 경남에 2580억여원, 제주도에 600억여원을 납부했다. 경마공원이 이처럼 지방자치단체 재정 충당에 큰 역할을 하자 제4의 경마공원 조성지로 추정되는 충청권과 호남권, 영남권 등 지자체들이 치열한 물밑 경쟁이 시작되었고, 추후 본격적인 경마공원 건설 계획이 확정되면서 본격적인 지자체의 경쟁이 뜨겁게 달아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지자체들의 열렬한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경마공원 추가건설에는 시민단체의 반대라는 커다란 암초가 놓여져 있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법에 경마가 포함된 원인도 일부 시민단체가 경마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국회의원들을 앞세워 만들어진 법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볼 때 제4경마공원 건립은 수요창출에서 어려움이 있는 만큼 지자체의 부지제공이나 저가임대 등 획기적인 제시가 있어야 할 것이다.

더 강조해야 할 것은 지금까지의 지방 경마공원 모두가 정치적인 논리에 이끌려 건설되었다는 점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다. 제주경마공원의 경우 천연기념물 조랑말의 보호육성 및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했지만 이 목적은 전혀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경마의 경우 교차경주가 없어진다면 당장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형편이고 천연기념물의 순종 보호육성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산경남경마공원의 경우 부산과 경남도가 경계선까지 변경하면서 건설이 되었다. 교통이나 주변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자체의 세금 나눠먹기가 우선시 되어 기형적인 경마장이 되고 말았다. 지난주에는 많지 않은 비에도 경주로의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흙탕물이 된 주로에서 위험천만한 레이스가 펼쳐지기도 했다. 새로 생길 제4경마공원은 정치논리를 완벽하게 배제한 채 오직 마필산업 발전과 축산업 발전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그래야만 한국 마필산업이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토대가 구축되는 것이다.


작 성 자 : 김문영 kmyoung@krj.co.kr
저작권자 © 말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