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1일, ‘말산업 발전 협의회(회장 김기천)’를 출범시켰다. 지역 농축협 조합원으로 가입한 도내 생산농가, 승마클럽 관계자 등 70여 명이 회원으로 사무국은 농협중앙회 경기지역본부 축산사업단에 마련됐다.

그렇고 그런 단체, 사익을 대변하는 또 하나의 단체 출범이 아니다. 협의회 출범은 실상 예견된 일이다. 말산업계를 대표할 민간 주도의 단체 탄생을 기다리는 현장의 염원이 하늘을 찔렀기 때문. 지방 정부이지만 경기도, 특히 이강영 경기도청 말산업팀장의 행정적 지원 결단과 농협중앙회의 사업 확장 의욕 그리고 현장의 요구가 삼박자를 빚어낸 역사적 결과물이다. 회원들의 적극적 참여와 민주적 과정을 통해 임원을 선출한 부분도 긍정적이다.

본 기자도 14년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의 ‘승마 수요 및 공급 전략 자문 의뢰’를 통해 “지역별 협의회 조직 만들어 운영 창구를 일원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생각은 신임 회장으로 선출된 김기천 회장과 3년 전부터 ‘교감’한 사안이다. 제주 지역의 승마장연합회(회장 노철)처럼 내륙 지역에도 승마클럽뿐 아니라 말산업계 관계자들의 정보 공유와 정부 시책의 효율적 하달, 민간 교류를 위한 협의회 출범이 필연적이었기 때문. 그간 일부 경영자들끼리 몇 차례 모임을 가졌지만, 이견과 시각 차이로 무산됐던 ‘아픔’이 있었기에 더욱 간절했다. 기존 일부 협회나 단체들, 지역별 조직은 제 기능을 상실했을 뿐 아니라 일부 지역 인사들의 땅따먹기와 편가르기, 보조금 횡령 및 ‘사당화’ 등으로 말산업 발전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역행 구조였던 관행도 한몫했다.

올해 들어 중앙 정부와 한국마사회도 규제 타파와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지난 5년간 막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현장이 떠안았다. 협의회 출범 그리고 경기도와 농협중앙회의 행보에 볼멘소리를 냈다. 뒤늦게 말산업을 축산업에 포함하고 이용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내놓겠다고 했지만, 늘 ‘뒷북’이었다. 보험, 사료, 톱밥 등 경영 사안을 넘어서 농지법 개정, 한전의 전기세 과태료 부과 등 한 개인이 떠안기에는 현장의 애로가 그 도를 넘었다.

결국 핵심은 정부와 말산업 전담기구 중심에서 민간으로의 이양, 농업농촌과의 상생 그리고 각 지역별 말산업 육성으로 집약된다. 이른 감이 없잖아 있다지만, 말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로 농가의 소득 증대, 지역별 승마대회 활성화 등 긍정적 부분을 살려야 한다는 목표가 분명하다면, 지방 정부와 농협, 현장가들이 뭉친 협의회는 이제 각 지역으로 뿌리내려야 한다.

22일 있었던 축산업무보고대회에서 이병규 대한양돈협회장은 이동필 장관과 산하기관장들이 모인 가운데서 “정부 정책이 일관되지 않다. 국장 등 담당자들이 새로 부임하면 정책이 지속되지 정책 기조가 변하고 있다. 정책을 만들 때 현장을 중시한다면 어느 국장, 장관이 오든 기본은 바뀌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이동필 장관은 이에 수긍하며 메모했다.

말산업계에도 이제 ‘농민’이, ‘축산농민’이, 말똥을 치우며 가장 낮은 자리, 현장에서 일하는 종사자들을 무서워할 줄 알아야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을 대변할 협의회 출범에 ‘정론’은 힘을 실어줘야 하는 일, 그것은 소명이자 의무다.

이용준 기자

작 성 자 : 이용준 cromlee21@krj.co.kr
저작권자 © 말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